반응형
인천시 1년 적정물량: 1.5만
22년 입주물량: 4.3만 (과잉)
23년 입주물량: 4.7만 (과잉)
24년 입주물량: 2.4만 (과잉)
25년 입주물량: 2.2만 ← 더 늘어날 가능성 높음 (과잉)
전국적으로 향후 입주물량이 많은 대표적인 곳이
대구와 인천인데
인천의 경우
송도국제신도시,
검단신도시,
루원시티,
영종국제신도시 등
많은 신도시와 도심 재개발로
공급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 물량의 소화가 쉽게 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인천의 대장인
송도에서 가장 큰 가격 하락이 나오고 있기때문에
입주장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 입니다.
과거 돌이켜 보면
서울과 다른 수도권의 상승이 오면
마지막에 인천이 뒤따라 오르는 경향이 있는데
서울 및 주요 경기 주요지역들도 조정 및 하락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이 다시 상승하려면
먼저 서울과 경기도 지역이 먼저 상승해야 하므로
향후 몇년간은 쉽지 않지 않을까 싶네요.
다행히 아직 미분양이 많지 않지만
향후 분양 아파트들이
부진하다면 더욱 더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반응형
'부동산 > 입주물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광역시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09기준) (22) | 2022.09.23 |
---|---|
대구시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09기준) (36) | 2022.09.21 |
부산시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09기준) (9) | 2022.09.20 |
경기도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09기준) (24) | 2022.09.19 |
서울시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09기준) (14) | 202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