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의 아파트 입주물량을 살펴보겠습니다.
제주도 1년 적정물량: 3천
22년 입주물량: 436(부족)
23년 입주물량: 1천(부족)
24년 입주물량: 493(부족)
25년 입주물량: 503이나 통계 덜 잡힌 물량 및 예정세대 미반영 등 고려해도 부족예상
제주도는 올해부터 향후 3년간은 입주물량이 수요대비 절대부족입니다.
따라서 공급리스크는 전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외적요건 리스크(금리인상, 전쟁 등) 및
대내적 요건(취득세 감면, 대출규제 등)이 해결만 되면 투자할 시기라고 볼 수 있을까요?
투자지역과 투자시기 판단시 공급만큼 중요한 것이 아파트 미분양입니다.
제주도의 미분양은 2022년 8월 기준 1,213세대입니다.
엄청난 수는 아니지만 줄어드는 추세가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미분양에서 악성이라고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의 비율이 높습니다.(60% 이상)
그래서 제주도의 경우는 이 미분양의 수가 확실하게 줄어드는 추세가 보일 때가
중요한 체크 포인트입니다.
대내외적 리스크들이 해소되고 미분양이 확실하게 줄어든다면
그 때가 제주도 아파트 투자시기의 적기라고 생각됩니다.
이상 제주도의 입주물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부동산 > 입주물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북도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10기준) (17) | 2022.10.10 |
---|---|
강원도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10기준) (14) | 2022.10.09 |
세종시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10기준) (14) | 2022.10.07 |
울산광역시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10기준) (16) | 2022.10.06 |
대전광역시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10기준) (14) | 2022.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