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특별시의 2023년 이후의 입주물량을 알아 보겠습니다.
서울시 1년 적정물량: 4.8만
23년 입주물량: 2.8만 (부족)
24년 입주물량: 1.6만 (부족)
25년 입주물량: 2.0만 (부족)
3년 연속으로 적정 물량 대비 공급이 많이 부족합니다.
서울 전체로 보았을 때는 투자 고려시 수급면에서는 아주 양호합니다.
25개 각 구별로 세분화하여서 확인해보면
입지가 좋은 지역인 강남구, 강동구가 공급이 많습니다.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는 서로 인접하였기 때문에
매매 및 전세가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 말부터 25년까는 전세가의 눌림은 분명히 있을 것입니다.
입지가 가장 좋은 강남4구를 제외하고는 공급에서는 매우 안전해 보입니다.
금리인상, DSR규제, 취득세 중과 등의 문제만 해결되면 서울에서 반등이 가장 먼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데
투자를 생각하신다면 수급면에서 안전한 강남4구 외 지역이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상 서울의 입주물량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 자료 출처: 부동산지인 -
반응형
'부동산 > 입주물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2023년~2025년 입주물량 (23년 01월 기준) (32) | 2023.01.09 |
---|---|
인천시 2023년~2025년 입주물량 (23년 01월 기준) (46) | 2023.01.08 |
경상남도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10기준) (16) | 2022.10.30 |
경상북도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10기준) (13) | 2022.10.26 |
전라남도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10기준) (3) |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