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의 2023년 이후의 입주물량을 알아 보겠습니다.
인천시 1년 적정물량: 1.5만
23년 입주물량: 4.8만 (과잉)
24년 입주물량: 2.5만 (과잉)
25년 입주물량: 2.5만 (과잉)
3년 연속으로 과잉인데 그 폭도 굉장히 큽니다.
전국에서 향후 3년간 수요대비 공급이 가장 많은 도시입니다. (그 많다는 대구 보다도 많음)
문제는 작년 입주물량도 약 4.3만으로 과잉이었는데 소화가 안 되고 있습니다.
벌써부터 전세가가 많은 하락을 하고 있는데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https://naver.me/5Af9dnFs
“올해 입주물량 쏟아지는데 어쩌나”…전세 ‘4억→2억’ 인천의 비명
고금리에 월세 선호 현상이 확산하면서 ‘역전세난’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수도권 가운데 인천 지역의 상황은 심각하다. 전세가격 하락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올해 대규모 입주 물량까지 공급
n.news.naver.com
물론 금리인상 등으로 전국적으로 부동산 매매가 및 전세가가 하락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고 분위기가 반전된다면 인천은 가장 시기가 늦을 확률이 높습니다.
투자를 생각하신다면 적어도 25년 이후를 보시는게 좋습니다.
최근 미분양도 급격하게 늘고 있어서 한동안은 매우 어려운 지역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몇년간 꾸준하게 많은 공급이 이루어지면
미분양 증가 -> 건설사 자금난 -> 해당지역 수주 X -> 공급 부족
이러한 구조를 거치기에 언젠가는 공급 부족의 시기가 올 것입니다.
그 시기를 잘 잡는다면 이런 지역도 확실한 기회가 오겠죠.
이상 3년간 공급 폭탄의 도시, 인천의 입주 물량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 자료 출처: 부동산지인 -
'부동산 > 입주물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 2023년~2025년 입주물량 (23년 01월 기준) (30) | 2023.01.10 |
---|---|
경기도 2023년~2025년 입주물량 (23년 01월 기준) (32) | 2023.01.09 |
서울시 2023년~2025년 입주물량 (23년 01월 기준) (46) | 2023.01.07 |
경상남도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10기준) (16) | 2022.10.30 |
경상북도 2022년~2025년 입주물량 (22.10기준) (13) | 2022.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