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의 2023년 이후의 입주물량을 알아 보겠습니다.
부산시 1년 적정물량: 1.7만
23년 입주물량: 2.3만(초과)
24년 입주물량: 1.4만(적정)
25년 입주물량: 0.9만(부족)
부산은 올해 초과공급이나, 내년부터는 공급이 확실히 줄어듭니다.
부산시 전체로 보면 올해 말 즈음이 공급에서는 안전한 투자시기가 예상되나
부산도 16개의 시군구가 있는 대도시이기에 구별로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입주물량이 적은 구중에 해운대구, 수영구, 남구, 북구, 금정구, 기장군이 좋아 보입니다.
해운대구와 수영구는 부산에서 가장 선호하는 입지이므로 분위기가 전환시
가장 먼저 빠르게 반응이 올 것입니다.
수영구에 올해 입주량이 많으나, 충분히 소화가능한 물량이어서 큰 지장은 없어 보이네요.
금정구는 향후 3년간 공급량이 0이지만 바로 아래 온천동(동래구)의 입주물량이 많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북구는 공급에서 매우 안전해보입니다
기장군은 작년까지 입주가 많았으나, 일광 신도시의 입주가 거의 마무리 되었으므로
향후 몇년간 공급 리스크는 없어 보입니다.
남구도 부산에서 선호되는 입지로 올해 까지는 많은 입주물량이 있으나,
24년부터는 부족해집니다.
하지만 대연동 및 문현동의 재개발이 많이 진행되기에 물량이 언전히 소화되기 전에
계속된 공급물량으로 전세가는 많이 영향받을 것입니다.
재개발지역들의 진행 과정과 분위기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최근 부산도 조정을 면치 못하고 있지만
내년 부터는 공급이 작아지기에
금리인상 등 대외적인 리스크만 없어지면
올해 하반기쯤에 좋은 투자시기가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상 부산광역시 입주물량을 알아보았습니다.
- 자료 출처: 부동산지인 -
'부동산 > 입주물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광역시 2023년~2025년 입주물량 (23년 01월 기준) (38) | 2023.01.15 |
---|---|
대구시 2023년~2025년 입주물량 (23년 01월 기준) (40) | 2023.01.14 |
경기도 2023년~2025년 입주물량 (23년 01월 기준) (32) | 2023.01.09 |
인천시 2023년~2025년 입주물량 (23년 01월 기준) (46) | 2023.01.08 |
서울시 2023년~2025년 입주물량 (23년 01월 기준) (46) | 2023.01.07 |